우분투에서 ssh 포트를 열고, 외부에서 접속해 봅니다.
putty를 이용해 접속해 봅니다.
설치 되어있는 패키지를 업데이트 합니다.

1 | |
update와upgrade차이 링크
SSH 서버를 설치 하고 포트를 연뒤 방화벽까지 해제해 줍니다.

1 | |

1 | |

1 | |
SSH 란?
Secure Shell Protocol
- 컴퓨터간 연결을
public network로 할때, 안전하게 통신하기 위한protocol 공개키비공개키를 전부 이용하여 통신한다.- 과거 내가 공부한 내용
포트 상태를 확인해봅니다.

1 | |
netstat를 찾을 수 없다네요, 설치합니다.

1 | |
포트 상태를 다시 확인합니다.
1 | |
22번 포트가 열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ip도 확인해 놓습니다.

1 | |
ssh 접속용 계정을 만듭니다
jys-ssh라고 명명해 주었습니다.

1 | |
adduser로 만들었습니다.
adduser와 useradd의 차이
adduser는 패스워드 등등을 한번에 설정합니다.-
useradd는권한을 일일히 다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. - 참고 블로그링크
putty를 이용해 접속해 봅니다.
- 아까 봐두었던
ip로 접속합니다.


예를 눌러줍니다.
backup 폴더를 만들고 권한을 변경해 줍니다.
- 폴더 생성
mkdir - 권한 변경
chmod


1 | |
764가 의미하는바
r실행,w쓰기,x실행
소유자에게 모든 권한을 주고, 그룹내에는 읽기 쓰기 권한, 그 외에는 읽기 권한만 부여


- 소유자에게
r,w,x권한을 준다4 + 2 + 1=7
- 그룹에게
r,w권한을 준다4 + 2=6
- 타인에게
r권한을 준다.4=4
- 아무런 권한을 주고 싶지 않다
0
현재 날짜를 찍어봅니다
date
1 | |

참고한 블로그들
- https://velog.io/@kys6879/%EC%9A%B0%EB%B6%84%ED%88%AC-18.04-SSH-%EC%84%A4%EC%B9%98
- https://antdev.tistory.com/48
- https://simplehanlab.github.io/ssh/ssh-how_to_setup_ssh/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