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otlin + Junit5 에서 BeforeAll, AfterAll 사용하기 작성일 2022-07-24 | In TestCode , Kotlin | Kotlin 에서 @BeforeAll, @AfterAll 을 사용해봅니다. 정적 메소드를 사용하거나, 테스트 생명주기를 조절합니다. 더 읽어보기 »
RequestParam, PathVariable 에 디폴트값 넣어주기 작성일 2022-07-17 | In Spring , Kotlin | kotlin에서 @RequestParam, @PathVariable 에 디폴트값을 주는 방법을 알아봅니다. 주소창에 입력이 없을때 디폴트값을 설정해봅니다. 더 읽어보기 »
Valid vs Validated (with kotlin) 작성일 2022-07-03 | In Spring | @Valid 와 @Validated 의 사용법과 차이점을 알아봅니다. JSR 지원 vs Spring 지원 더 읽어보기 »
JPA save 동작 과정과 isNew() 작성일 2022-06-19 | In JPA | JPA의 save 동작 과정과 isNew() save는 persist or merge 로 동작합니다. 분기를 isNew() 로 확인합니다. 더 읽어보기 »
JPA deleteAll vs deleteAllInBatch 작성일 2022-06-19 | In JPA | JPA deleteAll vs deleteAllInBatch deleteAll 사용시 불필요한 쿼리가 나갈 수 있습니다. 더 읽어보기 »
Kotlin 에서 Validation 사용시 주의할 점 작성일 2022-06-06 | In Kotlin , Spring | Kotlin 에서 Validation 사용시 주의할 점을 알아봅니다. use-site-target을 이용해 어노테이션이 붙는 위치를 정해주어야 합니다. 더 읽어보기 »
Kotlin을 Java로 디컴파일(Decompile) 하기 작성일 2022-06-06 | In Kotlin , IntelliJ | Kotlin으로 작성된 코드를 Java로 디컴파일(Decompile) 하기 IntelliJ 의 기능을 이용합니다. 더 읽어보기 »
Kotlin Paramaterized Test 작성일 2022-06-03 | In Kotlin , Test | Kotlin Paramaterized Test Kotest, Junit5 두개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. 더 읽어보기 »
JPA 사용시 ZoneDateTime을 Audit 하여 자동으로 시간을 넣어주기 작성일 2022-05-16 | In JPA | JPA에서 ZoneDateTime을 Aduitting 해봅니다. @PrePersist, @PreUpdate 와 같은 엔티티 생명주기 콜백과 관련된 어노테이션을 이용합니다. 더 읽어보기 »
클러스티드 인덱스와 논 클러스티드 인덱스 작성일 2022-05-08 | In DB | 클러스티드 인덱스와 논 클러스티드 인덱스의 차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는가,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한가, 몇개의 인덱스를 걸수 있는가 더 읽어보기 »